300x250

코스피가 하락을 계속하며 2,391포인트로 연저점을 경신했다고 한다.

 

코스피 연저점 경신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한종찬 기자 = 코스피와 코스닥이 20일 큰 폭으로 하락하며 연저점을 경신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49.90포인트(...

www.yna.co.kr

 

미국의 6월 빅스텝에 이어 7월도 75bp인상이 가시화 되며 한미 간 금리역전이 우려되고 있으며,

원달러 환율도 꾸준히 올라 1,300원을 코앞에 두고 있다.

조만간 1300원인 원달러 환율

 

그렇다면 코스피는 언제까지 추락하는것일까?

일반적으로 PBR(주가순자산비율)을 기준으로 0.9배 언저리는 경기침체 수준을 반영하는데, 가끔 비정상적 위기나 시스템 붕괴 위기 등으로 0.7배, 0.6배 까지 언더슈팅이 나오기도 하지만 정상적인 상황에서 0.9배 수준이 경기침체를 반영한 수준이다. 즉 코스피 전체종목의 합산 PBR이 0.9배 수준이면 바닥이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그 이하로 내려갈경우 지하실이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현재(6월 20일 기준) 코스피 시장의 PBR은 몇일까?

KRX 정보데이터 시스템에서 지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데,
22년 6월 20일 기준 코스피 종가는 2391.03 포인트이며 PBR은 0.94배 수준이다.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증권·파생상품의 시장정보(Marketdata), 공매도정보, 투자분석정보(SMILE) 등 한국거래소의 정보데이터를 통합하여 제공 서비스

data.krx.co.kr

 

코스피 PBR 0.9배는 지수로 몇일까?

바닥으로 생각할 수 있는 PBR 0.9배를 구하기 위해 간단히 비례식으로 풀어보면 다음과 같다.

  • 2,391.03 : 0.94 = x : 0.9  →  x = 2,289.28

코스피 지수가 2289.28이라면 pbr 0.9배로 볼수 있는것이다. 즉 지금 지수 대비 101.75 포인트가 더 빠져야 바닥이라는 소리다.

 

환율 상승을 반영한 바닥은?

하지만, 위에서 구한 바닥지수는 현재 원달러 환율인 1,293원일경우를 가정한 지수이다.
향후 환율이 1300원 돌파가 가시적이기 때문에 1,300원을 가정하여 다시 계산한다면 아래와 같다.

  • 환율 증가율 : (1300원-1293원) * 100 / 1293p = 0.54%
  • 환율반영pbr : 0.54% * 2289.28p = 2276.92p

코스피 저항/지지 구간

 

그래서 어떻게 투자할까?

인베스팅닷컴에서 매물대가 확인되지 않아 잔량파악은 되지 않지만,
지금 코스피 지수가 움직이고 있는 Band에서 쌓여있는 매물대가 많을것으로 생각되며, 코스피 2275~2280구간은 상당히 두꺼운 지지대가 될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미국과 우리의 상황, 거시지표에 큰 반전이 없다면,
현재 주가에서 어느정도 반등할경우 지속적으로 인버스 포지션으로 2280구간까지 노리는 전략을 세워봐야겠다.

 

※ 본 내용은 저만의 투자일기와 생각정리하는 자료이며 투자를 권하는 내용은 아닙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